일본유학부터 대학생활, 일본 취업을 언어적인 측면에서 지원하는 Nihongo no Tane입니다.
이번에는 실제로 있었던 오와하라 사례와 대처법을 소개합니다. 글이 흩어져서 읽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기록으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취업준비생 여러분, 입사하고 싶지 않은 회사에 억지로 끌려 다니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내정 연락 후
그 회사로부터 동의서와 대학 추천서를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아직 취업활동을 마칠 계획이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상담을 받았다.
대학 추천
원래는 특정 기업에 성적이나 연구 실적이 우수한 학생을 추천하고, 기업 측은 대학 추천을 받은 학생이라는 사실을 채용 활동에 고려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내정자를 내정했으니 대학 추천서를 제출하라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입니다. 그리고 기업 측이 대학에 요구할 수 있는 일인가. 어떻게 생각해도 불합리하고, 명백한 포섭 의도가 느껴집니다. 취업준비생들은 대학 추천서 등을 제출하면 사퇴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은 아닌지, 제출하지 않으면 내정이 취소되는 것은 아닌지 강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참고로, 당연히 귀사를 제1지망으로 삼고 있으며, 내정만 해주신다면 입사를 하겠다고 말합니다. 이것도 취준생들의 '상식'이며, 거의 무의미한 말입니다.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내정자가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OWAHARA
이게 오와하라라는 것이 있나 싶었는데, 아직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랐고, 대학 커리어 센터에 연락을 취해 보라고 했다. 그 결과, 대학 측으로부터 '학교 추천서는 발급하지 않는다'는 엄격하고도 감사한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취업준비생은 대학이 지켜주는 것에 감사하면서 '대학 추천서를 줄 수 없는 이유'로 대학 홈페이지의 스크린샷을 보내왔다고 한다. 답장에는 '부탁을 했지만, 안타깝게도 대학 커리어센터에서는 '추천서를 발급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는 내용을 적었다. 후발적 대학 추천서 등 이상한 것은 이상한 것이지 그렇게 비굴하게 굴 필요는 없지만, 내정자를 잃고 싶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취업준비생은 이 일로 인해 이 기업의 행태에 큰 위기감을 갖게 되었고, 이 회사에 가지 않기 위해 더 열심히 취업활동을 해야겠다는 결심을 새로이 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회사의 내정자가 나오면
다른 회사의 내정이 나오면 이 내정자에게 도망갈 거라고 생각하겠지요. 그 취업준비생은 우수하기 때문에 자신의 회사가 선택받지 못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는 것일까?
회사가 내정 사퇴를 피하고 싶은 것은 물론 이해할 수 있지만, 무리하게 밀어붙인 결과 취준생은 그 방식을 보고 불안해져 내정 사퇴를 고민하고 취업 활동을 열심히 하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오와하라가 내정 사퇴를 촉진하는 결과를 낳은 것 같습니다.
서로가 선택받고 선택받지 못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신의 대학도 당신을 지켜주었으면 좋겠어요.
다른 우량기업 내정
그 후 다른 우량 기업에서 몇 군데 내정자가 나왔고, 드디어 내정 거절 통보를 하게 되었는데, 어떤 식으로 연락을 하면 좋을지 상담이 들어왔습니다. 보통은 신중하게 고민한 결과, 마음이 아프지만 타사에...라는 식의 상투적인 표현을 쓰게 됩니다. 하지만 상대는 상급 기업이기 때문에 굳이 타사 이야기를 꺼낼 필요가 없습니다. 불필요한 것을 알려줄 이유도 없다.
연락할 때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
연락을 한다면, 그 이유를
으로 해야 할 것.
"어렵게 합격 통보를 받았지만, 거절하고 싶어서 연락을 드렸습니다. 대학 추천서를 제출하라고 했는데, 그 때문에 걱정이 많이 되었습니다."와 같은 식의 말투로 말해야 한다.
같은 말투입니다.
압박에 시달리는 것은 취업준비생이며, 취업준비생이 거절할 때 마음 아파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른 회사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윗사람의 눈치를 보는 갑질 기업에는 들어가고 싶지 않다고 분명한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취업준비생의 존엄성
앞으로 이어질 취업준비생들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도 그렇습니다. 이쯤 되면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일침을 가해야 할 것이다.
오만하지 말고, 정중하게, 하지만 그 방식은 잘못된 것임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럴 때는 냉정하게 사실만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은 선택받는 존재가 아닙니다.
취업준비생 스스로도 이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거절 연락
이메일이 아닌 전화.
말하기 어려운 연락이지만, 기본적으로 긴급하고 중요한 연락은 이메일로 하면 안 된다.
불안한 마음에 전화로
에 전화를 걸어 거절하고 싶다고 이유를 말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그 기업 담당자는 '약속을 어겼다'고 으름장을 놓으며 막무가내였다고 합니다.
우리 회사 내정자가 나오면 다른 회사도 다 제치고 취업활동도 끝내고 입사하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학생도 궁지에 몰리자 그 때 다른 기업의 최종 면접도 동시에 진행 중이라... 등의 말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았다고 한다.
그런 말을 할 필요가 없었는데도 그렇게 말할 수 있었던 것은 제가 세상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기 때문이고, 학생들은 압박을 받으면 무엇이든 말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어느 회사로 내정되었느냐고 물었는데, 역시나 그 얘기는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런 걸 알려줄 이유가 없으니까요.
긴 통화를 한 것 같았지만, 거절 의사를 전달한 것 같았다고 합니다.
“입사하겠습니다”라고 말하게 해도
설령 “입사하겠습니다”라고 말하게 한다고 해도
서로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리가 없습니다.
물론 시간과 돈을 들여서 선발한 것은 알겠지만, 학생에게도 의지가 있고,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말을 듣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또한, 답답해서 조금 괴롭히겠다고 한다면 그것은 어른의 대응이라고 할 수 없겠죠.
이 전화를 받은 취업준비생은 거절이라는 선택이 옳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불안해하는 것 같았다.
아무것도 잘못한 것이 없으니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학 취업센터에 경위를 보고해야 한다
그 경위를 대학 커리어센터
에 보고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애초에 일본 헌법에 직업 선택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는데, 취업을 그만두라거나 다른 회사를 포기하고 우리 회사로 와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잖아요.
내정 안 해준다고 얼버무려 놓고 억지로 그렇게 말하게 한 뒤 약속을 어겼다는 것은 농담이 아니다. 더군다나 내정된 기업의 이름을 말하게 하는 등, 학생들을 완전히 무시하는 처사다. 학생들의 입장이 약하다는 것을 악용한, 그야말로 대인기피적인 행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례는 악질적인 기업이라고 공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라하라를 알고 있는 상대와 결혼해도 행복할 수 없다
라고 말했어야 했습니다.
덧붙임
그리고 후일담입니다.
결국 내정자가 나오면 내정자가 나오면 반드시 입사하겠다는 약속이 반드시 따라다녔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정을 안 해준다는 것이었습니다.
다만, 악질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집요하게 네트웍을 한 회사는 단 한 곳뿐이었습니다. 그 기업은 어디를 가나, 언제까지나 채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항상 모집한다는 기업은 때로 '위험한 기업'일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기업들은 거절 사유를 정중하게 물어봤다고 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왜 탈락자가 나왔는지를 향후 채용 활동에 활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연한 일입니다.
요컨대, 이런 식이다.
"취업준비생들은 ‘후배들의 취업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전달할 때 고심했다고 합니다.
아니나 다를까, 꽤나 어른스러운 대응에 감탄했습니다.
결론
보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입사를 약속하는 것은 화가 나지만, 거절은 가능하다.
그 때의 기업의 대응을 보고 학생 측도 기업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사회공부라고 하기에는 상당히 신경이 쓰이고 피해를 입는 사건이었다.
주) 오와하라란 더 이상 취업 활동을 그만두고 우리 회사에 입사하라는 압력을 가하는 괴롭힘을 말한다. 직업 선택의 자유는 일본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입니다.
学生の職業選択の自由を侵害する「オワハラ」は行わないでください!!
https://www.mhlw.go.jp/content/11800000/001174797.pdf(厚生労働省・都道府県労働局・ハローワーク)
#일본취업 #대학추천 #후발대학추천 #내정자 #오와하라 #내정자 #직업선택의 자유